연도 | 개최내용 | 비고 |
2024 | 게시판 참고 | |
2023 | 게시판 참고 + 제18회 세계소비자법협회(IACL) | |
2022 | <정기학술대회> 동계학술대회(12월 15일) 추계학술대회 하계학술대회(07월 14일) 춘계학술대회(03월 29일) <특별세미나> 공정거래위원회 공동학술대회, “해외 주요국의 소비자안전 관리체계와 소비자안전 관리정책의 과제” (11월 21일) 직접판매공제조합, 한국특수판매공제조합 공동학술대회, “방문판매법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향한 노력” (11월 09일)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공동학술대회, “금융소비자보호법 보완을 위한 입법과제” (11월 22일) 한국소비자원 공동학술대회, “다크패턴, 국제적 논의와 소비자보호 시사점”(11월 11일) 미래소비자행동, “라이브커머스 현황 및 소비자피해현황 분석을 통한 소비자보호 방안 모색”(11월 01일) 최혜영 의원실 등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식품표시 효율화 및 간소화 방안 모색”(10월 26일) 한국법률가대회(10월 27일) 식품안전정보원 공동학술대회, “식품표시광고와 소비자 관련 판례 동향”(08월 23일) 공정거래위원회 등, 주류 영양성분표시 관련 간담회 개최(06월 07일) 중국 북경대학교 직접판매연구소 등, “직접판매에 대한 구분감독의 타당성 검토”(05월 13일) 진선미 의원실,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과 소비자 보호법제의 발전방향”(04월 01일) 한국외대 소비자법센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1주년 기념 온라인세미나”(03월 31일) 일본 칸사이대학교 법학연구소, “소비자계약법의 이론과 실무”(02월 22일) <판례연구회> 스마트계약 및 소비자법의 최신 판례 동향(09월 02일) <온라인연구회>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개인간 전자거래와 주요국 입법례(05월 20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개인간 거래와 입법동향(04월 18일) | |
2021 | 춘계학술대회(2월 24일) – 2020년 소비자법의 회고와 전망 추계학술대회(11월 10일) – 방문판매법의 개정방향 동계학술대회(12월 16일) – 주요국 소비자계약법의 동향과 시사 <공동학술대회> – 최근 식품안전 분야 관련 소비자 보호 강화 방안(7월 14일, 식품안전정보원) – 변화하는 전자상거래와 전자상거래법 발전방향(4월 6일) –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 전부개정안 설명회(3월 30일) – 공정거래법 4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움(4월 9일) – 2021년 소비자금융포럼(6월 22일) – 온라인플랫폼 중심의 전자상거래 규율체계 수립을 위한 입법과제(7월 27일) – 플랫폼을 통한 개인간거래와 소비자보호(8월 27일) -온라인플랫폼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가?(12월 6일) <특별세미나>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 특별세미나 (1회~5회) -제1회(5월 28일) -제2회(6월 11일) – 제3회(6월 25일) -제4회(7월9일) -제5회(7월 23일) -제6회(10월 8일) <온라인학술대회> – 제1회(2월 9일) – 제2회(3월 10일) – 제3회(3월 24일) – 제4회(4월 28일) -제5회(8월11일) -제6회(8월 26일) -제7회(9월15일) -제8회(10월20일) -제9회(11월30일) <판례연구회> 제1회 판례연구회(8월 25일) <국회세미나> 가상자산(암호자산)거래 법제와 어떻게 할 것인가(11월 24일) | |
2020 | <정기학술대회> 춘계학술대회(2월 25일) – 2019년 소비자법 정책의 회고와 동향 (코로나로 잠정연기) 추계학술대회(10월 16일) – 소비환경 및 소비자의 역할 변화” 동계학술대회(12월 16일) – 전자상거래 환경변화와 소비자권익보 <온라인연구회> – 제1회(5월 27일) – 제2회(6월 17일) – 제3회(7월 1일) – 제4회(7월 29일) – 제5회(8월 12일) – 제6회(9월 2일) – 제7회(10월 21일) <판례연구회> 제1회 판례연구회(7월 23일) <국회토론회> – 윤두현 의원실(12월 18일) <공동학술대회> 디지털 무역 확대에 따른 소비자 보호 등 관련 법의 역외적용 문제 (6차 세미나, 1월 13일) 현대소비자사법의 이론과 실무연구반 국제학술대회(2월 18일) 소비자기본법 제정 4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 소비자정책의 현재와 미래(9월 4일) 한국법률가대회(10월 22일) 중국베이징대학교 국제세미나(11월 27일) 게임법과 소비자보호(12월 4일) | |
2019 | <정기학술대회> 춘계학술대회(2월 25일) – 2018년 소비자법의 회고와 전망 창립 10주년 기념학술대회(4월 23일) 추계학술대회(10월23일) – 온라인광고분쟁조정제도 기능 강화를 위한 법제도연구 – 방문판매법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동계학술대회(12월 18일) – 최근 소비자법의 주요 쟁점 / 전자상거래법 개정과 그 영 <공동학술대회> 전자상거래법상 플랫폼 사업자의 법적의무와 국제동향(4월 24일) <국회토론> 제조물 피해구제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 <특별세미나> 방문판매법 워크숍(2월 27일 및 28일) 디지털화와 소비자(Howells, 6월 24일) 플랫폼 경제에서 혁신과 규제(주한독일문화원, 8월 22일) 전자상거래법 개정안에 따른 후속 연구 세미나 (10월 19일) 특수거래분야 발전을 위한 워크숍(12월 11일) <판례연구회> 계약 자유와 소비자보호(6월 14일) | |
2018 | <정기학술대회> 춘계학술대회(2월 27일) – 2017년 소비자법 회고와 전망 춘계학술대회(4월 13일) – 게임정책의 방향과 게임소비자보호 동계학술대회(12월 7일) – 소비자법의 현안과 과 <공동학술대회> 한독 스마트폰 소비자보호 포럼(5월 31일) ICT관련 분쟁과 분쟁조정제도의 발전방향(10월 5일) <국회토론> 헌법상 소비자기본권 보장을 위한 토론회(5월15일) 4차산업혁명 시대의 바람직한 방송통신이용자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토론회(7월 31일)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소비자보호(10월 25일) 제11회 한국법률가대회(10월 18일) 소비자기본법 개정방안에 괗나 세미나(12월 3일) <판례연구회> 제1회 판례연구회(11월 2일) | |
2017 | <정기학술대회> 동계학술대회(2월 23일) / 2017년 첫 학술대회 – 2016년 소비자법 회고와 전망 춘계학술대회(4월 14일) – 온라인광고 시장의 성장에 따른 분쟁 이슈와 소비자보호 하계학술대회(6월 2일) – 디지털안전과 소비자보호1 추계학술대회 / 2017년 마지막 정기학술대회 – 디지털안전과 소비자보호2 <공동심포지움> 대선토론회 (4월 21일, 5개 학회 공동주최) 입법평가의 이론과 실제(5월 26일, 한국법제연구원 외 4개 기관 공동주최) 식품안전법제의 현황과 과제(6월 28일, 식품안전정보원) <판례연구회> 제1회 판례연구회(4월 28일) – 판례를 통해 본 소비자법 동향 1 제2회 판례연구회(10월 19일) – 판례를 통해 본 소비자법 동향 2 <소비자법 전문가포럼(집단소송법)> – 1회 (5월 12일) – 2회 (5월 27일) – 3회 (6월 16일) – 4회 (6월 17일) <해외법제연구회> – 1회 (5월 27일) – 2회 (8월 25일) | |
2016 | 제29회 학술대회 (추계학술대회) • 대주제 : “고령소비자피해의 효율적 예방 및 구제를 위한 법ㆍ정책 현황 및 과제” • 일 시 : 2016년 10월 26일 13시 ~ 10월 27일 13시 • 장 소 : 경상북도 경주시 현대호텔 • 주 최 : 경상북도 • 주 관 : 한국소비자법학회ㆍ한국소비자원 제28회 학술대회 • 대주제 : 개정 민법(여행계약) 시행과 향후 과제 (상세 프로그램 내용은 별첨 자료 참조) • 일 시 : 2016년 5월 20일(금) 13:40~18:00 • 장 소 : 노랑풍선 대강당 (서울 중구 수표로 31, 노랑풍선빌딩 지하 2층) • 주 최 : 한국소비자법학회·공정거래위원회 • 후 원 : (주) 노랑풍선 국제학술대회 •대주제: 「한중일 전자상거래 활성화와 소비자보호」 •일 시: 2016년 8월 25일(목) 1시 – 6시 •장 소: 고려대학교 해송법학도서관 국제세미나실 •주 최: 한국소비자법학회ㆍ한국소비자원ㆍ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후 원: 한국온라인쇼핑협회ㆍ고려대학교 ICR 센터ㆍ한국인터넷광고재단 공동심포지움 대주제 : “협동적 유통 내지 공유경제와 소비자 보호” 일 시 : 2016년 12월 2일(금) 13:30-18:00 장 소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101호 주 최 : 한국소비자법학회ㆍ한국외국어대학교 소비자법센터 후 원 : 특수판매공제조합 —————소비자법센터 제5회 세미나————————– 축사: 고인배 이사장(특수판매공제조합), 서희석 회장(소비자법학회, 부산대) 개회사: 이병준 센터장(한국외대 법학연구소 소비자법센터) 기조발제 : 우리 사법은 공유경제에 대해 준비가 되어있는가? 가정준 교수(한국외대) *제1세션: 공유를 통한 소비와 소비자보호 사회 : 최완진 교수(한국외대) 제1발제“ Car-sharing business 에서 있어서 소비자 문제” : 진도왕 교수 (인천대) 제2발제 “Airbnb 사례를 통해 본 소비자간의 신뢰 형성” : 이상현 정책총괄(에어비앤비) *제2세션 : 판매자의 협동을 통한 유통과 소비자보호 사회: 최영홍 교수 (고려대) 제1발제 “유통체널로서의 다단계판매“ : 김천수 교수(인하대) 제2발제 “개정 생활협동조합법” : 김세준 교수(경기대) <제10회 한국법률가대회> ○ 일시: 2016년 10월 20일 (목) ~ 10월 21일 (금) ○ 장소: 쉐라톤서울팔래스강남호텔 그랜드볼룸/다이너스티홀 ○ 주최: 대법원, 헌법재판소, 법무부, 대한변호사협회, 한국법학교수회 ○ 주관: 한국법학원 ○ 후원: 법률신문사 ○ 대주제 : 『동아시아 법의 현황과 미래 – 조화와 통일의 관점에서』 ▸ 제1분과 : “법 일반” ▸ 제2분과 : “민상법” – 소비자법학회 참여 /10월 21일(금) 오전세션(제2세션) ▸ 제3분과 : “공법” ▸ 제4분과 : “국제교류” • 대주제 : 집단적 소비자피해의 예방과 구제 – 소비자안전 및 피해구제 확보를 위한 심포지엄- (상세 프로그램 내용은 별첨 자료 참조) • 일 시 : 2016년 7월 5일(화) 14:00~18:00 • 장 소 : 국회입법조사처 대회의실 (국회도서관 421호) • 주 최 : 한국소비자법학회·국회입법조사처·한국소비자연맹 제4회 판례연구회 • 일 시 : 2016년 10월 8일(토) 14:00~16:30 • 장 소 : 고려대 CJ법학관 5층 최고위과정실 • 주 최 : 한국소비자법학회 판례연구회/ 고려대 법학연구원 비교법 연구센터 제3회 판례연구회 • 일 시 : 2016년 4월 23일(토) 14:00~16:30 • 장 소 : 고려대 CJ법학관 5층 최고위과정 • 주 최 : 한국소비자법학회 판례연구회/ 고려대 법학연구원 민사법연구센터 제4회 해외법제연구회 • 대주제 : 품질보증 및 담보책임에 관한 연구 (상세 프로그램 내용은 별첨 자료 참조) • 일 시 : 2016년 12월 22일(목) 14:00~17:10 • 장 소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101호 • 주 최 : 한국소비자법학회·한국외국어대학교 소비자법센터 제3회 해외법제연구회 • 대주제 : 통신판매거래에 관한 최근 EU의 입법동향과 우리 법의 개정방향(상세 프로그램 내용은 별첨 자료 참조) • 일 시 : 2016년 6월 17일(금) 14:00~17:00 • 장 소 : 건국대학교 법학관 신관5층 국제회의실(L503호) • 주 최 : 한국소비자법학회·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
2015 | ||
2014 | ||
2013 | ||
2012 | ||
2011 | ||
2010 | ||
2009 | [제1회] 창립총회(2009.11.27.) |